용어 설명

FTP

Funtional Threshold Power

보통 '기능적 임계 파워'로 번역됩니다.

급격하게 지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파워를 뜻하며, FTP를 넘어서는 파워를 사용하면 피로가 빠르고 많이 쌓여 오랜시간 유지하기 어렵다는 생리학적 원리를 근간으로, 기량 측정과 트레이닝 구성에 핵심적이고 기초적인 수치가 됩니다.

TTE

Time to Exhaustion

FTP에 해당하는 파워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각 라이더마다 서로 다른 수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FTP의 기준시간이 60분으로 정의되어 동호인이나 일반적인 로드레이스 이외의 종목에서 적용하기 어려웠으나, TTE의 개념이 도입되어 각 개인의 상황이나 특성에 맞는 데이터 분석 및 훈련이 가능해졌습니다.

RP

Regulated Power

고강도 활동은 비중을 높게, 저강도 활동은 비중을 낮게 계산해 단순 평균파워보다 실제 신체에 걸리는 부하를 보다 현실적으로 계산한 파워를 뜻합니다.

IF

Intensity Factor

해당 활동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숫자가 클수록 높은 강도로 라이딩 했다는 뜻입니다. IF는 (RP/FTP)로 계산합니다.

IF가 1에 가까우면 FTP에 가까운 파워로 라이딩 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Load

부하

훈련의 피로도를 수치화 한 점수입니다.

FTP로 1시간 라이딩 했을 경우 100의 부하가 누적되며, 이보다 강도가 낮거나 짧은시간 라이딩 한 경우 더 낮게, 높은 강도로 라이딩 하거나 긴 시간 라이딩 한 경우 높게 산출됩니다.

wLoad의 경우는 주간 부하로 주간 훈련량을 의미합니다.

Fitness

체력

긴 시간에 걸쳐 축적된 훈련 부하량(만성훈련부하)입니다.

최근 12주간의 훈련량이 반영됩니다.

Fatigue

피로도

최근 축적된 훈련 부하량 (급성훈련부하)입니다.

최근 7일간의 훈련량이 반영되며, 해당 훈련이 나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Balance

밸런스

체력에서 피로도를 뺀 수치입니다.

숫자가 클수록 좋은 컨디션, 숫자가 낮을수록 피로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훈련을 열심히 하고있는 상태라면, '-' 수치가 유지됩니다.

Decoupling

디커플링

같은 강도에서 운동을 유지 중 심박만 오르는 현상을 뜻합니다.

보통 존 2 훈련 시 훈련 효과가 유지되는 지점을 알아낼 때 사용됩니다.

Fatmax

최대 지방대사가 이루어지는 파워강도를 뜻합니다.

사람, 훈련정도에 따라 크게 값이 변화하는 값이며, 대체로 존 2에 위치합니다.

저강도 훈련이 대체로 이 강도로 이루어지며, 해당 훈련을 통하여 지근 발달, 신체의 회복력 증가, 젖산 제거 능력 향상, 지방 연소에 도움이 됩니다.

VO2max

최대 산소 흡입량을 뜻합니다. ml/kg/min 단위로 나타내며, 운동 능력과 근사하게 비례합니다.

VO2max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경우가 많으며, 꾸준한 훈련을 통해서 일정 수준까지 서서히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Recovery Time

회복 시간

부하(Load)가 라이딩으로 인해 누적된 피로도를 나타낸다면, 회복 시간은 라이딩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회복 능력은 VO2max, 체중, 나이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VO2max가 높을수록, 체중이 적게 나갈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회복이 더 빠릅니다.

Match

성냥개비

성냥개비는 FTP의 120% 파워를 1분간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HIIT 세션이나 크리테리움 레이스에서는 한 시간 동안 약 10-12개의 성냥개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AWC

무산소성 작업능력

개인마다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임계 강도(FTP)를 초과하여, 체내 저장된 에너지로 무산소성 최대 파워를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무산소성 작업능력(Anaerobic Work Capacity)이라고 합니다.

FTP보다 높은 영역대에서 발휘할 수 있는 힘의 용량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AWC를 통해 소진된 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용량을 읽듯 표시됩니다.

Anaerobic Power Usage

무산소성 파워 소진

무산소성 파워 소진을 이해하려면 먼저 무산소성 작업능력(AWC)을 알아야 합니다. 개인마다 FTP를 초과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제한된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AWC라고 합니다. 무산소성 파워 소진은 AWC가 얼마나 소모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FTP 이상의 강도에서 인터벌 훈련을 여러 번 수행한 후, 완전히 탈진할 정도의 스프린트로 마무리했다면, AWC를 100% 소모한 것으로 봅니다.

만약 100%에 쉽게 도달한다면, 이는 FTP가 너무 낮게 설정되었을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Last updated